윈도우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설정해두면 상당히 귀찮습니다. 이럴 때는 자동업데이트가 진행되지 않도록 서비스 설정을 변경해보세요. 윈도우10 자동업데이트 끄기 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매우 간단합니다.
윈도우10 자동업데이트 끄기
1. 가장 먼저 실행창(단축키: 윈도우키+R)을 열어주세요.
2. 실행창이 열리면 services.msc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거나 아래의 확인을 클릭합니다.
3. 서비스 창이 나타나면, 오른쪽에서 [Windows Update] 항목을 찾아줍니다.
4. [Windows Update] 항목에 대고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열리는 드롭다운 메뉴에서 [속성(R)]을 선택합니다. 더블클릭을 해도 좋습니다.
5. Windows Update 속성 창이 나타나면 중앙에 있는 [시작 유형(E)]를 [자동]에서 [수동]이나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해주세요. 변경 이후부터는 윈도우10 자동업데이트가 더 이상 실행되지 않습니다.
※참고 시작 유형을 [수동]으로 변경하면 자동업데이트는 실행되지 않지만, 업데이트 파일을 미리 다운로드 해놓거나 업데이트가 있음을 알리는 등의 옵션은 유지됩니다. 시작 유형을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하면 업데이트와 관련한 작업이 일체 진행되지 않습니다. 업데이트가 장기간 지연되면 보안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되도록이면 [수동]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시작 유형을 자동에서...)
(수동 또는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합니다.)
6. 시작 유형 변경 후 현재 실행되고 있는 Window Update 서비스도 중지해야 합니다. Windows Update 속성 창 하단에 있는 [서비스 상태]의 [중지(T)]를 클릭해주세요. 완료했으면 오른쪽 밑에 있는 [적용]-[확인] 순으로 클릭하여 창을 닫아주세요.
※참고 자동업데이트를 꺼두면 업데이트가 있는지 주기적으로 직접 확인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앞서 말한것처럼 너무 장기간 방치하면 보안이 취약해질 수 있거든요. [시작]-[설정]-[업데이트 및 보안]의 [업데이트 상태] 항목에 있는 [업데이트 확인]을 클릭하면 업데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 윈도우10 자동업데이트 끄기 정보, 도움 되셨나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