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봉잡스 시즌21630

wsactivebridge 정체는? 삭제해도 될까? wsactivebridge은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보이스아이(VOICEYE)에서 개발한 음성변환 프로그램입니다. 눈으로 정보 확인이 불편한 시각쟁애인, 저시력인, 어르신들을 위한 프로그램이죠. wsactivebridge는 보이스아이 코드를 적용하고 있는 관공서가 교육기관 등의 공공기관에서 증명서 혹은 문서를 발급받을 때 함께 설치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이스아이 음성변환 적용 사례) wsactivebridge는 시스템 시작시 자동으로 실행되거나 PC 리소스를 과도하게 점유하는 프로그램은 아닙니다. 따라서 해당 프로그램을 자주 사용하거나 설치를 요구하는 페이지를 자주 이용한다면 그대로 두어도 큰 무리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자주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면 불필요하므로 아래의 방법으로 삭제할 것을 권.. 2018. 11. 22.
maepsbroker 정체는? 삭제해도 될까? maepsbroker는 국내 보안 소프트웨어 업체인 마크애니(Markany)에서 개발한 증명서/문서 위변조방지 프로그램 e-Page SAFER 관련 프로그램입니다. 보안이 필요한 문서나 컨텐츠를 출력하거나 조회가 필요한 온라인 페이지 이용시 설치됩니다. maepsbroker가 보안상 도움이 되는 것은 분명합니다. 하지만 시작프로그램에 등록되어 시스템을 시작할 때 자동으로 실행되며, 이로 인해 PC의 자원을 일부 점유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 정도가 심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maepsbroker의 설치를 요구하는 페이지를 매일 같이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아무래도 삭제해주는 편이 좋겠죠. 자세한 삭제 방법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세요. maepsbroker 삭제 방법 1. [시작]-[설정(제어판)]-[.. 2018. 11. 20.
lsass.exe 정체는? 삭제해도 될까? lsass.exe는 Local Security Authority Subsystem Service(로컬 보안 인증 하위 시스템 서비스)의 약자입니다. lsass.exe는 시스템에 접속하는 유저들의 로그인을 검사하며, 비밀번호 변경을 관리하고, 엑세스 토큰을 생성하는 등 시스템의 보안 정책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 윈도우 기본 프로세스입니다. lsass.exe는 임의로 종료할 수 없습니다. 강제적으로 종료하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재부팅됩니다. lsass.exe와 바이러스 lsass.exe는 백그라운드에서 항상 실행되는 시스템 파일이기 때문에, 여러 바이러스나 악성코드에 의해 곧잘 사칭되는 파일이기도 합니다. lsass.exe가 PC 자원을 과도하게 점유하는 등과 같은 이상한 낌새가 확인된다면 아래의 방법으로 l.. 2018. 11. 16.
wpmsvc.exe 정체는? 삭제해도 될까? wpmsvc.exe는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주)위즈베라에서 개발한 프로그램 WIZVERA Process Manager 실행 프로세스입니다. wpmsvc는 Wizvera Process Manager Service의 약자죠. WIZVERA Process Manager는 은행 사이트 등과 같이 개인정보가 보호가 필요한 사이트 이용시 설치가 요구됩니다. WIZVERA Process Manager가 보안상 유익한 것은 사실이지만,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실행되어 PC 자원을 점유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프로그램의 설치를 요구하는 사이트를 매일같이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삭제를 진행하여 PC 자원을 확보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어차피 나중에 필요하면 다시 설치하면 되니 삭제에 대한 걱정은 하지 않으.. 2018. 11. 15.
dllhost.exe 정체는? 삭제해도 될까? dllhost.exe는 윈도우 시스템에 기본으로 동작하는 프로세스로, COM+를 기반으로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액티브X를 실행하거나 업데이트시에 실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확인해보면 거의 모든 상황에서 항상 실행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dllhost.exe를 강제로 종료해도 시스템상 큰 문제는 없으나, 관련 응용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을 우려가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그대로 둘 것을 권장합니다. dllhost.exe와 바이러스 dllhost.exe는 수많은 바이러스나 악성코드 감염의 타겟이 되는 프로세스입니다. 따라서 dllhost.exe가 과도하게 PC 자원을 많이 점유하는 등과 같은 이상한 낌새가 확인된다면 아래의.. 2018. 11. 14.
delfino.exe 정체는? 삭제해도 될까? delfino.exe는 위즈베라에서 개발한 오픈인터넷뱅킹 공인인증 전자서명 모듈 위즈베라 델피노(WIZVERA Delfino)의 관련 프로세스인 WIZVERA Delfino Handler의 실행 파일입니다. 주로 은행 등 공인인증서 로그인이 필요한 웹페이지 이용시 설치가 요구됩니다. 해당 프로그램이 보안상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은 맞지만,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컴퓨터 자원을 점유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WIZVERA Delfino Handler의 설치가 요구되는 페이지를 매일같이 자주 이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PC에서 삭제해줄 것을 권장합니다. 다음에 필요할 때 다시 설치해주면 되니 삭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delfino.exe 삭제 방법 1. [시작]-[제어판]-[프로.. 2018. 1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