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630 유심 모델코드 및 일련번호 확인하기 안드로이드 SIM Card Info나 SIM카드 등의 앱을 이용하면 귀찮게 유심을 직접 꺼내지 않아도 유심 모델코드와 일련변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유심핀이 없어서 유심 트레이를 탈착할 수 없거나, 잘라서 재활용한 유심이라 모델코드와 일련번호를 확인할 수 없을 때 유용하죠.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심 모델코드 및 일련번호 확인하기 안드로이드 1. 구글 플레이 스토어를 엽니다. 2. 검색창에 유심 또는 SIM Card를 검색합니다. 3. 검색 결과에서 SIM 카드나 SIM Card Info를 설치합니다. 어느 것을 이용해도 무관합니다. 저는 SIM Card Info를 사용했습니다. 4. 설치가 완료되면 앱을 열어 Serial Number(ICCID)에서 모델코드와 일련번호를 확인합니다. Serial Num.. 2019. 11. 11. mfc120u.dll 오류 해결 방법 두 가지 mfc120u.dll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C 런타임 라이브러리 관련 파일입니다. mfc120u.dll를 찾을 수 없다며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는 오류는, 해당 파일이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손상, 변조 또는 삭제되었을 경우에 발생합니다. 이 말은 즉 온전한 파일을 원래 있어야 할 곳에 복사해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죠.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매우 간단합니다. mfc120u.dll 오류 해결 방법 1 1. 먼저 사용 중인 윈도우의 비트를 확인해야 합니다. 내 PC(내 컴퓨터)에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열리는 메뉴에서 [속성]을 선택합니다. 내 PC를 찾을 수 없는 경우 단축키 [윈도우키+Pause]를 누르세요. 사용 중인 윈도우의 비트를 아는 경우 1~2는 건너뛰어도 좋습니.. 2019. 11. 11. 노트북 와이파이 인터넷 없음 해결 방법 세 가지 간혹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은 되지만, "인터넷 없음"이라고 표시되며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도해볼 만한 세 가지 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 첫 번째 방법부터 세 번째 방법까지 순서대로 진행해보면서 문제 해결을 진행해보면 될 것 같습니다. 노트북 와이파이 인터넷 없음 해결 방법 1 첫 번째 방법은 무선 연결과 관련한 서비스를 재시작하고 관련 설정을 변경해주는 것입니다. 1. [실행창(단축키: 윈도우로고키+R)]을 엽니다. 2. 실행창에 services.msc를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3. 열리는 서비스창 우측 목록에서 [WLAN AutioConfing], [WWAN AutoConfig]을 찾아주세요. 4. 먼저 [WLAN AutoConfig] 항.. 2019. 11. 8. 윈도우10 부팅 후 종료 전 실행되던 프로그램 자동실행 해제 윈도우10은 시스템을 종료하기 이전에 실행되던 프로그램들을 시스템을 다시 시작할 때 자동으로 실행해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에게는 매우 유용할 수 있는 기능이지만, 불필요한 사람들에게는 되려 불편을 줄 수도 있는 기능입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이 기능을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첫 번째 방법, 로그인 옵션 변경 1. [시작]-[설정] 순으로 클릭합니다. 2. [계정]을 클릭합니다. 3. 왼쪽 메뉴에 있는 [로그인 옵션]을 클릭합니다. 4. 우측 개인 정보 항목에 있는 [업데이트 하거나 다시 시작한 후 내 로그인 정보를 사용하여 내 장치 설정을 완료하고 내 앱을 다시 엽니다.]를 [끔] 상태로 변경합니다. 대부분 이 설정을 변경하는 것으로 해결이 됩니다. 두 번째 방법, 전원 .. 2019. 11. 5. 윈도우 화면 회전 단축키 및 잠금, 화면 돌아갔을 때 해결 인텔 내장그래픽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특정 단축키를 입력하면 화면이 회전합니다. 윈도우 자체적으로 작동하는 단축키는 아니며, 내장그래픽이 있는 인텔 CPU를 사용할 때만 작동하는 단축키입니다. 화면을 정상 위치로 되돌리거나 좌우로 회전하는 단축키는 다음과 같습니다. [Ctrl + Alt + ↑] : 화면을 정상 위치(기본 화면)로 회전, 돌아간 화면을 되돌리고 싶다면 이 단축키 입력[Ctrl + Alt + ↓] : 180도 회전[Ctrl + Alt + →] :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Ctrl + Alt + ←] :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 아래처럼 바탕화면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열리는 메뉴에서 [그래픽 옵션]-[회전] 순으로 클릭하여 화면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 [바탕화.. 2019. 11. 5. 한글 자동저장 파일 위치 및 주기 설정, 쉬운 설명 한글의 자동 저장 기능은 예측하지 못한 오류나 PC 종료 등의 상황 등으로부터 문서를 보호하기 위해 임시 복구용 파일을 만드는 기능입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이 자동저장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과 자동저장 주기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자동저장 기능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내용들도 적어두었으니 천천히 참고해보세요. 한글 자동저장 설정 및 파일 위치 자동저장 기능 활성화/비활성화, 자동저장 주기 설정, 임시 복구용 파일 위치 확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한글을 엽니다. 2. 상단 메뉴의 [도구]-[환경 설정] 순으로 클릭합니다. 3. 열리는 환경 설정 창 [편집] 탭의 저장 항목에서 [복구용 임시 파일을 무조건 자동 저장]과 [복구용 임시 파일을 쉴 대 자동 저장] 항목에 체크를 하면 .. 2019. 11. 4. 이전 1 ··· 64 65 66 67 68 69 70 ··· 272 다음 반응형